오픈스트리트맵(OSM)의 지도에 등산로를 그리려면 OSM에서 지원하는 편집 툴을 사용하면 된다.
편집 툴의 종류로는 iD 편집기, Potlatch2 편집기, JOSM 등이 있다.
JOSM은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설치를 하여야 하며, iD와 Potlatch2는 웹브라우저 내에서 실행되는 편집기로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만, Potlatch2 편집기는 어도비 플래쉬가 먼저 설치되어 있어야 실행이 된다.
이 편집기들은 각각의 특징들이 있어 지도 편집작업의 특성에 맞게 적합한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여기서는 Potlatch2 편집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한다.
Potlatch2 의 특징은 본인이 직접 서버에 올린 트랙로그를 불러와 이것을 이용하여 등산로를 만들거나, 또는 다른 유저들이 올려 논 트랙로그를 불러와서 서로 비교하여 오류를 수정하거나 참조를 할 수 있어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JOSM을 사용하여 트랙로그 데이터를 직접 서버에 올리는 방법도 있으나, 대부분의 트랙로그가 오류를 포함하고 있어서 수정 작업이 필요하며, 노드(웨이포인트)의 최적화, 기존 도로와 연결 등의 부수적인 작업들이 뒤따라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들이 익숙하지 않다면 이 방법은 피하는 것이 좋다.
등산로를 만드는 간단한 작업은 트랙로그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한 Potlatch2 편집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또한 여러 트랙로그를 비교하여 오류 수정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1. Potlatch2 편집기
2. 트랙로그 불러오기
3. 등산로 만들기
4. 등산로 수정, 삭제
5. 등산로 연결
6. 연결된 등산로 편집, 나누기
7. 데이터 저장
OSM의 홈 페이지에 접속한다.
좌측 메뉴에 "The Map" 선택하여 맵 뷰어로 이동한다.
아래와 같이 화면에 지도그림을 보여준다.
지도를 편집하는 편집기의 화면 상태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화면에 보이는 모든 지도데이터를 불러오기 때문에 화면 전환이 느려지므로 맵 뷰어 상태에서 작업하려는 지역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화면에 넓은 지역이 보이는 상태에서는 편집기 상태로 전환되면 화면 전체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어 서버에 무리를 주게 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줌 레벨13 이전에는 화면상단의 "편집" 메뉴버튼이 활성화가 되지 않는다.
1. Potlatch2 편집기
작업하려는 지역을 줌 레벨 13 이상으로 확대를 하면 "편집" 메뉴버튼이 활성화된다.
"편집" 문자 옆의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팝업메뉴에서 편집기를 "Potlatch2" 로 설정한다.
화면이 아래그림과 같이 P2 편집기 상태로 전환되어도 편집 작업을 하려면 화면이 줌 레벨(14)로 확대되어야 지도를 편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작업화면 우측상단의 "+" 아이콘을 누르거나 마우스의 가운데 휠 버튼을 위로 돌리면 확대된다.
2. 트랙로그 불러오기
줌 레벨 14로 확대되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편집상태가 되므로 OSM의 기존 자료가 벡터 데이터 형태로 보인다
자신이 트랙로그를 업로드 한 지역이나 또는 등산로를 만들려는 관심지역을 아래그림과 같이 작업화면에 보이게 하고 트랙로그를 서버에서 불러온다.
작업화면 상단의 "GPS 데이터" 메뉴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보이는 지역에 해당하는 트랙로그를 불러온다.
이 역시 넓은 지역은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작업을 하기에 적당한 범위의 지역을 화면에 확대한다.
한번만 누르면 넓은 지역일수록 일부만 가지고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필요한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다면, 수초 정도의 간격으로 여러번 메뉴버튼을 누른다.
아래그림의 작업화면에 하늘색으로 보이는 트랙로그가 나타난다.
다음 그림의 빨간 사각형 안에 보이는 트랙로그를 따라 등산로를 만든다.
등산로를 그리는 작업을 하기 위해 충분히 확대를 한 다음, 다시 "GPS 데이터" 버튼을 누르면 아래 그림에 보이는 한개의 트랙 이외에 다음 그림에서는 더 많은 트랙로그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3. 등산로 만들기
등산로의 시작 지점에 커서를 위치 시킨다.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시작지점을 만든다.
지정된 위치에 빨간색 점이 만들어지면서 화면의 좌측에 메뉴 및 상태 창이 나타난다.
여기를 보면 지금 만들어진 지도요소가 정체불명이며 태그 설정이 안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nknown" 팝업 버튼을 눌러서 "Path > Generic path"를 선택하여 등산로로 지정한다.
시작지점에서 트랙로그를 따라 굽어지는 지점에 커서를 옮겨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새 웨이포인트가 생성되며 등산로의 일부가 만들어 진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작업화면에 보이는 지역을 다 그렸다면, 다음 작업지역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키이보오드의 "ESC"를 눌러서 그리는 작업을 종료한다.
커서의 모양이 화살표로 바뀌는데, 작업화면에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고 움직이면 지도의 영역이 옮겨진다.
이때, 만약에 새로 나타나는 화면의 작업영역에 트랙로그가 보이지 않는다면, 다시 상단의 "GPS데이터" 버튼을 누른다.
앞에서 그린 등산로의 마지막 점에 커서를 대고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전 작업에 이어 작업이 가능하다.
4. 등산로 수정, 삭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실수로 원하지 않는 위치에 등산로가 잘못 그려져 수정을 하려면,
"ESC" 버튼을 눌러 그리는 작업을 종료시키고, 삭제하려는 마지막 웨이포인트를 선택하고, "ESC"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노란색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커서로 웨이포인트를 선택한 상태가 된다.
작업화면 좌측하단의 "휴지통" 아이콘을 누르면 웨이포인트가 다음 그림과 같이 삭제된다.
TIP) 방금 삭제한 것을 취소 하려면 "Ctrl + Z" 를 누른다. 또는 실수로 다른 지도요소를 변경시켰거나 삭제하였어도 바로 "Ctrl + Z" 를 누르면 복구가 된다.
만약에 여러번 조작으로 본인이 작업하는 이외의 다른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구가 되지 않는다면, 저장하지 말고 화면 우측상단의 "내보내기" 메뉴버튼을 눌러서 지도 편집상태를 빠져나간 다음, 처음부터 새로 작업을 한다.
5. 등산로 연결
작업하는 등산로가 기존 등산로나 도로와 만나는 등산로이면 서로 연결을 시켜야 한다.
이는 라우팅 엔진에 의해 자동으로 경로를 만들거나 항법운행을 할때 새로 만든 등산로도 기존 도로나 등산로와 연결되어 라우팅이 이루어진다.
범용기기의 온, 오프라인 라우팅 시 OSM 데이터를 이용한다.
기존 등산로와 만나는 웨이포인트나 선에 커서를 갖다 대면 기존의 등산로의 웨이포인트가 파란색 점으로 보이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연결이 된다.
TIP) 만들어진 등산로 중간에 웨이포인트를 추가 하려면, "Shift+마우스 오른쪽 버튼" 을 원하는 지점에 누르면 된다.
6. 연결된 등산로 편집, 나누기
기존 등산로나 도로와 잘못 연결시켜서 연결부위를 끊고 수정작업을 할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된 부위의 웨이포인트를 선택하고 삭제하면, 두 등산로의 해당위치의 웨이포인트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다음 그림과 같이 두 등산로의 웨이포인트가 같이 삭제가 된다.
따라서 기존 등산로는 중간 웨이포인트가 없어지므로 아래그림과 같이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변형된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지우려는 등산로의 연결된 부위의 다음 웨이포인트를 선택하고, 우측하단의 "가위" 아이콘을 선택한다.
명령을 실행하면, 선택한 웨이포인트를 기점으로 새로 만든 등산로가 둘로 나누어 진다.
나누어진 등산로 중, 잘못 편집한 부분을 선택하여 삭제한다.
결과는 당연히 잘못 그린 등산로만 삭제되고 기존 등산로의 웨이포인트는 원래의 상태로 남아있다.
등산로의 시작하는 지점도 기존 도로와 연결 시킨다.
7. 데이터 저장
완성된 등산로를 서버에 저장한다.
화면 우측상단의 "Save" 버튼을 누른다.
대화창이 나오면 코멘트 부분에 작업 내용을 입력할 수가 있는데 생략해도 무방하다. "Save" 버튼을 누르면 서버에 저장이 된다.
'OpenStreetM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mosis 설치 시 에러 (2) (0) | 2018.03.02 |
---|---|
osmosis 설치 시 에러 (1) (0) | 2018.03.02 |